위암 사망률은 [e-나라지표] 라는 국가에서 운영하는 통계자료를 참고하였을때 2018년 발생률 1위에 해당하는 암입니다.
- 2018년 암발생률은 위암 > 갑상선암 > 폐암 > 대장암 > 유방암 > 간암 > 전립선암 순서이다.
- 2019년 암에 의한 사망률(인구 10만명당 명)은 폐암(36.2명), 간암(20.6명), 대장암(17.5명), 위암(14.9명) 순으로 높음
1. 위암검진 대상자
- 만 40세이상 남녀, 2년마다 시행
2. 검진 방법
- 1) 위내시경 검사
: 위내시경검사는 널리 시행되고 있고 여러분들도 대략적으로 다 알고 계실것입니다. 위암발견에서 초기 위암을 발견하기 위해서는 무조건 위내시경이 첫번째 선택입니다. 내시경 자체의 불편함과 힘든점이 있는 건 사실입니다. 하지만 다시 말씀드리지만 초기 위암을 발견하려면 무조건 위내시경입니다.
- 2) 위장조영검사
: 위내시경검사를 실시하기 어려운 경우 이 검사를 시행합니다. 개인적인 의견으로 이 검사는 요즘 시행빈도가 많지않고 암을 찾아내기에 좋지않은 검사입니다. 위장조영검사에서 암을 의심할수는 있어도 무조건 암이다! 라고는 못하게 되겠고 이 검사에서 암이 의심된다면 그 다음 단계로 위내시경 검사를 해야만 합니다.
3. 위암의 가족력이 있는 경우
- 개인적인 의견을 말하겠습니다
- 1) 위암으로 가족이 40세이전에 돌아가셨다면 -> 국가검진나이인 만 40세보다 더 일찍 위내시경 검진을 받으시는 것을 권합니다. 정해진 나이와 정해진 검진간격은 없습니다. 하지만 다른 일반 사람보다 일찍 검진을 받을 이유는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. 암은 조기 발견이 생명입니다.
- 2) 그 외의 경우 -> 최소한 국가검진을 꾸준히 만 40세부터 받으시길 권합니다. 더 일찍부터 검진을 받아도 좋으나 개인의 사정과 여러가지 조건이 다르기때문에 다른것을 안한다면 최소한 국가검진이라도 빼먹지말고 받으셔야 됩니다.
4. 위암의 가족력이 없는 경우
- 국가검진을 꾸준히 성실하게 받으시면 되겠습니다.
'의료, 건강 > 국가암검진 알아보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유방암 검진 (0) | 2021.08.14 |
---|---|
대장암 검진 (0) | 2021.08.14 |
간암검진 (0) | 2021.08.12 |
폐암검진 (0) | 2021.08.11 |
국가 암검진 사업 소개 (0) | 2021.08.10 |